1. 서론: 스레드와 동시성 문제 소개 - **스레드의 기본 개념 설명**: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실행 흐름의 단위. - **동시성 프로그래밍의 중요성**: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임. - **동시성 문제의 예시**: 데이터 공유 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경쟁 상태(race condition) 등. - **ThreadLocal의 소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바의 도구로서의 ThreadLocal. 2. ThreadLocal의 작동 원리 - **ThreadLocal 클래스**: Java의 `java.lang.ThreadLocal` 클래스 소개. - **주요 메서드 설명**: `set()`, `get()`, `remove()`, `initialValue()`..
분류 전체보기
'synchronize' 키워드가 함수에 적용될 때의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Mutual Exclusion (상호 배제): 'synchronize' 키워드가 적용된 함수나 블록은 한 시점에 하나의 스레드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즉, 한 스레드가 'synchronized' 함수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다른 스레드들은 해당 함수 또는 블록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Locks on Objects: Java에서 'synchronize' 키워드는 객체에 락을 걸게 됩니다. 메소드가 'synchronized'로 선언되면, 해당 메소드를 호출하는 객체는 락을 획득합니다. 이는 객체 레벨에서 동기화를 제공합니다. 만약 'synchronized' 블록이 사용된다면, 특정 객체에 대한 락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Me..
Java 8의 혁신 (2014년 출시) 람다 표현식: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고, 함수형 프로그래밍 접근을 가능하게 함. 스트림 API: 데이터 컬렉션 처리를 위한 새로운 방법 제공.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메소드: 인터페이스에 구현 코드를 포함할 수 있게 함. 날짜와 시간 API: 사용자 친화적인 날짜 시간 처리 기능. 나즈혼 JavaScript 엔진: 자바스크립트 실행을 위한 새로운 엔진. Java 11의 변화 (2018년 출시) 장기 지원 (LTS): 기업 환경에 적합한 안정적인 버전 제공. 로컬 변수 타입 추론: var를 사용하여 지역 변수의 타입을 자동으로 결정. HTTP 클라이언트 API: HTTP/2 프로토콜을 완벽하게 지원. ZGC (Z Garbage Collector): 저 지연 시간을 위한 새..
암호화는 디지털 세계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공개 키와 개인 키, 두 가지 주요한 암호화 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들이 어떻게 안전한 통신을 지원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공개 키 암호화의 개념:** 공개 키 암호화는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입니다: 공개 키와 개인 키. 이 두 키는 수학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하나를 알더라도 다른 하나를 유추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1. **공개 키 (Public Key)**: - 공개 키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해 메시지를 암호화하거나 디지털 서명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안전하게 메시지를 보내고 싶을 때, A는 B의 공개 키를 사용..
#### 1. Model (모델) - **내용**: 모델은 MVC 패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합니다. 모델은 비즈니스 로직과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상태를 관리합니다. 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 getters and setters } #### 2. Controller (컨트롤러) - **내용**: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이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모델과 뷰를 조작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응답을 반환합니다. 스프링에서는 `@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컨트롤러 클래스를 정의합니..
이직 시작한지 이제 8개월째이다. 사실 이직 준비를 하면서 거의 2달 가까이를 날려먹었다. 물론 면접을 여러번 보게 되면서 나의 위치를 어느정도 판단을 할 수 있었고 내가 부족한 점을 파악할 수 있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부분이 있었다. 그걸 알면서도 면접을 보면 볼 수록 몸으로 지친게 느껴진다. 회사에서는 야근을 해야하는 상황인 동시에 새벽까지 공부를 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몸이 버티기 위해서는 운동을 해야 하는데 운동을 하지를 못하고 있다. 단순히 운동이 재미없어서이다. 운동을 하다가 재미를 못 느껴서 도중에 그만둔적이 여러번 있었기에 새로운 운동을 하기에 어느정도 두려움(?)이 있었고, 본래 운동 자체를 재미없어하기에 체력을 길러야 하는 상황인데 기르지 못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여태까지..
특징/아키텍처 모놀리틱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SA) 코드베이스 단일 코드베이스로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관리됨 각 서비스가 독립적인 코드베이스를 가짐 데이터베이스 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각 서비스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음 확장성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해야 함 각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확장 가능 유지보수 하나의 부분을 변경하면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각 서비스가 독립적이므로 유지보수가 쉬움 배포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단위로 배포 각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 결합도 높은 결합도로 서비스나 기능들이 밀접하게 연결됨 낮은 결합도로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 팀 작업 하나의 큰 팀이 전체를 관리 각 서비스를 별도의 작은 팀이 관리 가능 복잡성 초기에는 단순하..
1. **빈의 정의**: 스프링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ApplicationContext)에 의해 생성되고 관리되는 객체입니다. 이러한 빈은 통 비즈니스 로직을 담고 있는 컴포넌트나, 데이터 접근, 서비스 레이어 등을 담당합니다. 2. **빈의 생성**: 빈은 보통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등의 애노테이션을 통해 클래스 레벨에서 선언됩니다. 또한, XML 설정이나 자바 설정을 통해서도 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빈의 라이프사이클**: 스프링 컨테이너가 시작될 때, 빈은 생성되고 의존성이 주입됩니다.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빈은 소멸됩니다. 4.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빈은 필요한 다른 빈..
스프링에서 빈으로 오브젝트 매퍼를 관리하는 이유: 1.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의존성 주입을 쉽게 해줍니다. 오브젝트 매퍼를 빈으로 선언하면, 다른 빈이나 컴포넌트에서 쉽게 주입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생명주기 관리**: 스프링은 빈의 생명주기를 관리해주므로, 개발자가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코드의 복잡성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3. **추가 기능**: 스프링의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트랜잭션 관리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테스트 용이성**: 빈으로 관리되는 객체는 테스트가 더 쉽습니다. Mock 객체를 쉽게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 테..
### 제목 "싱글톤 패턴에서의 무상태 설계: 왜 중요한가?" ### 내용 싱글톤 패턴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하나만 생성되도록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러한 싱글톤 패턴에서 "무상태(stateless)"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무상태가 무엇이며, 왜 중요한 것일까요? #### 무상태(Stateless)란? 무상태라는 용어는 객체가 어떠한 상태도 유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인스턴스의 작동은 전적으로 입력에 의존하며 이전의 작업이 후속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싱글톤 패턴에서 무상태의 중요성 싱글톤 패턴은 전역 상태를 공유하기 때문에, 객체 내부에 상태를 저장하면 여러 부분에서의 동시 액세스로 인해 예기치 않은 동작이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