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web
로드 밸런싱은 주로 자원에 대한 최적화, 처리량 최대화, 지연율 최소화를 해준다. nginx는 여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해주고, 퍼포먼스를 향상시켜주고, 확장성, 신뢰성을 바탕으로 매우 효율적인 Http 로드밸런싱을 제공해준다. 로드밸런싱은 다음과 같은 메소드를 제공한다. 1. 라운드 로빈(round-robin) 2. 가장 접속량이 적은 서버에 할당(Least-connected) 3. 다음 요청은 전에 들어왔던 서버에 할당(ip-hash) 다음은 로드밸런싱의 기본값(default) 세팅이다. (Round-robin) http { upstream application { server www.server1.com; server www.server2.com; server www.server3.co..
· Linux
리눅스에서 find 명령어가 해당하는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라는 것은 누구나 잘 알 것이다. 기본적으로 파일내용 검색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find [경로] -name "파일명" | xargs grep "찾을 내용" 여기서 xargs는 보통 파이프랑 같이 사용하는데, 파일 목록을 추출해서 출력, 삭제, 복사 등을 하는 경우가 있다. 명령어가 파일, 지정한 패턴에 대한 출력 명령어이다. 다시 말하면 저 명령어 의미는 해당 경로에 파일명을 찾은 다음, 파일명 안에 존재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라 생각하면 된다. 하나 예를 들면서 설명하겠다.호스트 이름이 'was1'이라서 다른 이름으로 바꿀려고 한다. 물론 우리는 바로 /etc/hosts 가서 변경하면 되지만, find 를 가지고 해결하려 한다.확장명..
회사 입사한지 1달정도 되고, 월급까지 받아가니 숨통이 트이는 느낌까지 받게 되었다. 취준생 시절에는 하고 싶어도 돈, 시간 때문에 하지 못하는 것이 있었는데, 이제는 어느정도 널널하게 되서, 어느정도 마음만 먹으면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회사도 대체적으로 칼퇴를 하기 떄문에 주중에도 시간이 많이 빈다. (1달동안 근무하면서 야근 한 적이 단 한번도 없었고 다른 직원 분들도 야근을 거의 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이 나름 있긴 하다. 직장인으로써 정말 하고 싶은 일이 있긴 하다. 당연코 나는 게임, 애니 보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남는 시간을 내가 좋아하는 것에 투자해도 회사 생활에 있어서 그렇게 크게 지장은 없어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살다가는 나중에 도태되거나 자기 발전..
· Database
디비를 사용하면서 백업 & 복구를 할 필요가 생길 거 같아 예제로 연습할까 한다. 디비는 https://github.com/datacharmer/test_db 을 사용하였다. (DB는 employees 을 사용하였고, table 역시 employees를 사용하였다.) 일단 기본적인 사용 예제 몇 가지만 적겠다. 옵션 설명 예시 --all-database --database [DB명] 모든 DB dump특정 DB dump mysqldump -u root -p --all-database > allDatabase.sqlmysqldump -u root -p --database employees> allDatabase.sql --no-data데이터 없이mysqldump -u root -p -all-database..
· Database
설치 환경 OS : CentOS7 Version : 5.6.15 ※ 순서대로 설치를 안하시면 오작동 확률이 높습니다. 1. mysql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 설치 [root@localhost home]# yum -y install gcc gcc-c++ ncurses ncurses-devel cmakeyum perl perl-Data-Dumper 2. mysql 설치 [root@localhost home]# wget https://dev.mysql.com/get/Downloads/MySQL-5.6/mysql-5.6.15.tar.gz [root@localhost home]# tar xvfz mysql-5.6.15.tar.gz [root@localhost home]# cd mysql-5.6.15 3. C..
· Linux
처음 초기 설정이 DHCP로 설정이 되어, 개인이 아닌 여러 컴퓨터를 이용하는 곳이라면 ip가 바뀌는 현상이 생길텐데 고정 ip 설정을 통해 ip가 바뀌지 않 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하기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TYPE="Ethernet"PROXY_METHOD="none"BROWSER_ONLY="no"BOOTPROTO="static"DEFROUTE="yes"IPV4_FAILURE_FATAL="no"IPV6INIT="yes"IPV6_AUTOCONF="yes"IPV6_DEFROUTE="yes"IPV6_FAILURE_FATAL="no"IPV6_ADDR_GEN_MODE="stable..
· JPA
Spring Data JPA JPA 기반으로 조회, 수정, 삭제, 삽입 등의 반복적인 패턴을 하는 상황이 생김 이를 좀 더 편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Spring에서 기반한 JPA가 나오게 됨 특징 1. 스프링 데이터 JPA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2. 데이터 접근 계층을 개발할 때 구현 클래스 없이 인터페이스만 작성해도 개발을 완료할 수 있음 쿼리 메서드 1. 일반적인 CRUD 메서드는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가 공통으로 제공하므로 문제가 없음. 2. 스프링 데이터 JPA는 메서드 이름을 분석해서 다음 JPQL을 실행함. MemberRepository.findByUsername(...) -> 'select m from Member m whe..
· spring
AOP이란 Aspect oriented programming 으로써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정의를 굳이 말하자면 공통 영역을 핵심 부분에 적용하는 스프링 기능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자바의 특징이 객체 지향인데, 이러한 특징을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게 해준다. 이 정의를 처음 들었을 때 추상적으로 들려 좀 더 풀어서 설명할 까 한다. 그림은 간단한 웹 예제를 가지고 연습한 기준을 가지고 그림을 그린 것이다. AOP가 없다면 로깅, 보안, 트랜젝션 기능을 각 영역마다 추가를 시켜줘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이 떄 aop를 이용하면 굳이 일일히 각 기능들을 추가시킬 필요가 없으며 공통 영역에 관한 클래스를 작성하고 적용시키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AOP를 본격적으로 앞서 AOP를 쓰는데 필요한..
· Javascript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body { height: 2000px;}#quick { position: relative; width: 100px; left: 50%; top: 0; margin-left: 540px; height: auto; z-index: 20;}#quick .quick_menu { margin-top: 25px;}#quick .quick_menu li a { text-align: center; width: 100%; margin: 0 auto; display: block; outline-style: none; ..
· web
출처 :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2.0.x/reference/mvc.html 스프링이 어떠한 방식으로 돌아가는지 차근차근히 설명해 보려한다. 1.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오면 웹 컨테이너에서 web.xml를 거치게 된다. web.xml 안에는 dispatcher servlet 에 가기에 앞서, listener를 통해 스프링에 필요한 설정(context) 들을 읽어들이고, 필요한 객체들을 등록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을 통해 어떤 위치에 있는지 설정이 가능하다. (없으면 설정들을 불러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applicationContext.xml 안에는 각종 빈 등록(패키지 안에 존재하는 클래스 및 DB 영역)을 담당하는 곳이라 생각하면 된다...
개발만파볼까
신입 개발자의 하루